108 0 0 0 0 0 1개월전 0

경제와 투자 II

실물경제는 침체되거나 위축되고 있지만, 주식시장은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발전은 서로 균형을 이룬다. 주가의 변동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규제된다. 우리는 이미 수요와 공급의 역학에 대해 들었다. 기본 원리는 잘 알려져 있다. 만약 모든 사람이 갑자기 특정 상품, 예를 들어 손으로 엮은 곰돌이 러그를 사게 되면 공급이 부족해지고 러그의 가격은 비싸진다. 만약 아무도 곰돌이 러그에 관심이 없다면, 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으로 판매될 것이다. 같은 원칙이 증권거래소의 가격에도 적용된다. 시장에 회사의 주식이 많으면 그 회사의 가치는 떨어진다. 공급이 부족해지면 주식의 가치도 상승한다. 또는 요구가 바뀌어야 한다. 많은 매수자가 주식에 관심을 가지면 가격이 급등한다. 구매자 수가 줄어들면 가격도..
실물경제는 침체되거나 위축되고 있지만, 주식시장은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발전은 서로 균형을 이룬다. 주가의 변동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규제된다. 우리는 이미 수요와 공급의 역학에 대해 들었다. 기본 원리는 잘 알려져 있다. 만약 모든 사람이 갑자기 특정 상품, 예를 들어 손으로 엮은 곰돌이 러그를 사게 되면 공급이 부족해지고 러그의 가격은 비싸진다. 만약 아무도 곰돌이 러그에 관심이 없다면, 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으로 판매될 것이다. 같은 원칙이 증권거래소의 가격에도 적용된다. 시장에 회사의 주식이 많으면 그 회사의 가치는 떨어진다. 공급이 부족해지면 주식의 가치도 상승한다. 또는 요구가 바뀌어야 한다. 많은 매수자가 주식에 관심을 가지면 가격이 급등한다. 구매자 수가 줄어들면 가격도 떨어진다. 중요한 질문은, 시장의 대부분 플레이어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이다. 공급 과잉으로 인해 모두가 갑자기 매도하고 싶어서 가격이 폭락할까? 아니면 특정 주식의 갑작스러운 폭락으로 인해 가격이 폭등(폭락 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어 반등하거나 다시 급등하는 상황)하는 걸까? 이러한 역동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제때 알아차리는 사람은 가장 큰 수익을 얻을 것이다. 물론,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 가능한 자금의 양과 시장 분위기이다. 투자자들은 돈이 떨어지면 새로운 증권을 사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오래된 주식을 없애려고 노력한다. 공급은 증가하고, 수요는 감소하며, 주식시장 가치는 감소한다. 반면에, 유통되는 돈이 많으면 더 많이 살 수 있을 것이다. 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은 부족해지고 주가는 오르고 있지만 이는 주식 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자자들이 경제 상황에 대해 비관적이라면 주식보다는 부동산이나 금과 같은 유형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한다. 반면, 분위기가 좋으면 현금 보유액이 부족할 때에도 계속해서 증권을 매수하여 시장에 낙관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현재 한국 번역가협회 회원이며 번역하는 사이사이 책을 출간하고 있다. 자본주의를 신봉하며 항상 좋은 책을 펴 내고자 하는 저자의 바람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으로 그 꿈을 이루리라 확신한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